국내 미들마일 시장은 29조9000억원규모(2019년 국토교통부)로 6조2000억원규모 라스트마일 시장 보다 약 5배나 크다. 다만 1만3000여개 운송사 중 연매출 20억원 이하, 임직원 4명 이하 자영업자가 80%를 차지하는 매우 파편화된 시장이다. 보통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물건을 받는 차주와 물건을 주는 화주가 전화로 배차를 받고 전표 받아 체계적인 관리도 어려운 실정이다.
물건을 주고받는 것은 사업의 가장 근본적인 활동이다.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물건이 육로로 운반이 되고 있다. 하지만 운송산업은 여전히 전화와 문자, 엑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로지스팟은 고객이 효율적으로 운송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물류 디지털화를 돕는다. 로지스팟 박재용 대표는 지난해 초<물류와 경영>과 한 인터뷰에서 화물운송 분야 디지털 전환에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1년 만에 그를 다시 만나 회사의 성과와 변화에 대해 들었다.
지난 2016년, ‘통합운송관리서비스’를 통해 낙후된 화물운송시장의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는 ‘로지스팟’이 매년 100%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뤄내며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한 올해에도 성장세를 이어가 연 매출 650억원 달성을 예상되는 등 화물운송시장의 ‘다크호스’를 뛰어넘어 새로운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상품을 주문하고 받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이틀 남짓. 기한 내 신속하게 상품을 싣고 운송하면서도 모든 과정을 꼼꼼히 기록해야 한다. 아무도 신경 쓰지 않았던 이 절차에 주목한 이들이 있다. 전화와 수기로 이뤄지던 운송, 배차, 정산 업무 기록에 디지털을 입힌 로지스팟의 박준규, 박재용 공동 대표를 만났다.
하루 1000여 대의 화물차가 이 회사를 통해 전국 방방곡곡으로 물건을 나른다. 2016년 설립된 뒤 매년 100% 이상 매출이 늘고 있다. 그런데 이 회사가 갖고 있는 화물차는 0대다. 최근 서울 강남의 사무실에서 로지스팟 박준규·박재용 공동대표를 만났다.
“국내 물류산업은 27조원의 거대한 시장에서 1만3000여개 운송사가 경쟁하는 매우 파편화된 시장입니다. 로지스팟은 고객사에 통합 운송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운송·보관분야에서 효율성을 높이려고 합니다.”
물류 산업으로 통칭되는 화물 운송이 멈추면 동맥경화에 걸려 피가 돌지 않는 혈관처럼 모든 산업이 멈추게 된다. 그래서 물류는 산업의 기본이자 바탕이다. 그만큼 중요하면서 어려워 쉽게 뛰어들기 힘든 분야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