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상품을 보관만 하는 게 아니라, 분류와 재포장으로 바로 배송할 수 있게 준비하는 물류시스템을 크로스도킹이라고 합니다. 속도전이 되어가는 물류에서 크로스도킹은 유용한 무기입니다.
이커머스 사이트를 이용하지 않고 자사몰이나 브랜드몰을 통해 소비자에게 바로 판매하는 방식을 D2C라고 합니다. D2C는 SNS의 발전에 따라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런 D2C를 위한 공급망 변화, 그중에서도 물류에 주목해야 합니다.
국내 미들마일 시장은 29조9000억원규모(2019년 국토교통부)로 6조2000억원규모 라스트마일 시장 보다 약 5배나 크다. 다만 1만3000여개 운송사 중 연매출 20억원 이하, 임직원 4명 이하 자영업자가 80%를 차지하는 매우 파편화된 시장이다. 보통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물건을 받는 차주와 물건을 주는 화주가 전화로 배차를 받고 전표 받아 체계적인 관리도 어려운 실정이다.
코로나19 이후 물류는 ‘애자일’에 주목합니다. 애자일 로지스틱스는 물류 프로세스 전반에 대해 끊임없이 변하는 상황과 고객의 요구에 민첩하게 반응하는 것을 의미하는데요. 그럼 기업은 어떻게 애자일 로지스틱스를 실현할 수 있을까요?
물건을 주고받는 것은 사업의 가장 근본적인 활동이다. 우리 주변에 있는 모든 물건이 육로로 운반이 되고 있다. 하지만 운송산업은 여전히 전화와 문자, 엑셀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로지스팟은 고객이 효율적으로 운송 업무를 관리할 수 있도록 물류 디지털화를 돕는다. 로지스팟 박재용 대표는 지난해 초<물류와 경영>과 한 인터뷰에서 화물운송 분야 디지털 전환에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1년 만에 그를 다시 만나 회사의 성과와 변화에 대해 들었다.
지난 2016년, ‘통합운송관리서비스’를 통해 낙후된 화물운송시장의 디지털화를 선도하고 있는 ‘로지스팟’이 매년 100%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뤄내며 주목받고 있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를 강타한 올해에도 성장세를 이어가 연 매출 650억원 달성을 예상되는 등 화물운송시장의 ‘다크호스’를 뛰어넘어 새로운 강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국내 1위 디지털 통합 물류 서비스 기업 로지스팟㈜이 물류센터 내 화물 운송 차량의 입출고를 관리하는 ‘입출고관리 솔루션’의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로지스팟의 ‘입출고관리 솔루션’은 물류센터를 오가는 화물 차량의 입고와 출고 과정을 디지털 물류 플랫폼에서 관리해 물류센터의 효율적인 입출고를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솔루션이다.
온라인 쇼핑이 늘면 ‘이것’도 는다? 바로 반품! 반품이 골칫거리는 옛말. 반품을 잘 하면,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가 높아져 고객과 기업 모두에게 이익을 줍니다. 반품을 위한 효과적인 역물류 전략을 알아보세요.
국내 1위 디지털 통합 물류 서비스 기업 로지스팟은 자체 조사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기업의 물류 담당자들은 자사 물류업무의 디지털화에 대한 질문에 ‘평균 50.8’이라는 낮은 평가를 내리고 있으며, 약 71%의 기업들이 물류 업무 개선을 위해 디지털 물류 플랫폼 도입을 계획하고 있다고 밝혔다.